[잡담] 카비레이크-G의 미스테리 / I'm back!
카비레이크-G 보도자료엔 특이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베가 M의 스펙 서술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간접어법을 사용한 것입니다. ROP 개수를 xx개, yy개라고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대신 "클럭당 64픽셀" (베가 M GH) / "클럭당 32픽셀" (베가 M GL) 로 적어놓았단 뜻인데, 모든 기사가 그렇습니다.
지금까지는 당연히 클럭당 처리가능한 픽셀 수가 곧 ROP 개수를 의미했습니다. (By definition : ROP라는 이름 자체가 Render Output Pipeline의 약자이니...) 이미 알려진 64ROP GPU들인 피지, 베가 역시 클럭당 64픽셀의 캐파를 갖췄고 이들의 픽셀 필레이트는 ROP 개수와 클럭을 곱한 값입니다. 즉 ROP 개수 = "클럭당 xx픽셀" 의 xx와 같은 값임을 받아들이는 데는 아무 비약이 없습니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카비레이크-G의 베가 M 스펙에 의문이 생깁니다.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고작 내장GPU일 뿐인 베가 M GH/GL의 ROP 수는 각각 무려 64개/32개씩이나 되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이게 얼마나 insane 한 일이냐면... (중략) 아 예시 들기 급 귀찮. 여튼 브리스톨 릿지 내장GPU가 8ROP였고 콘솔쪽으로 옮겨 봐도 현존 최고성능인 XBOX ONE X가 32ROP에 불과한데, 그걸 일개 컨슈머 CPU가 넘어섰단 걸 믿어야 한다구요?!
자. 이럴 때를 위해 닥몰 VGA 계산기를 갈고 닦아 왔습니다. 시뮬레이션을 돌려 본 결과는...
- 조금 뒤 글이 완성되면 공개합니다 -
즐거운 연말연시 보내셨나요 회원 여러분. 저는 다시 본 궤도에 복귀해 오늘 최소 2개의 새 글을 올리기 위해 열심히 타이핑 중입니다. 그간 격조했다면 더 이상 심심하지 않게 열심히 놀아(=글을 생산해) 드릴게요! 모두 즐거운 새해의 첫 일상 주를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
지금쯤이면 모든 분이 확인하셨겠지만, 확실히 해 두고자 내용을 추가합니다 :)
라데온 RX 베가 M의 미스테리가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정독하세요! -> http://drmola.com/pc_column/262905
Dr.Lee's Signature
* 적용중인 트로피 :
DR.MOLA
레벨 | Lv. 30 (-22%) |
---|---|
포인트 | 98,138 p |
출석 | 11 일 (개근 0 일) |
사실 암드는 1사이클에 4개의 픽셀을 처리하는 픽셀 엔진을 개발했지만 지금껏 묻어둔 것이라는 망상을 어제까진 해왔습니다. 어쨌든 암드답지 않고 엔비디아보다 엔비디아스러운 설계인데, 이건 인텔의 입김인지 암드 자체의 노선 전환인지는 알고 싶긴 합니다.
또한 명칭의 정리 또한 필요한데,
iGPU = 내장 그래픽
dGPU = 외장 그래픽
eGPU = 외장형 그래픽
mGPU = 다중 그래픽 식으로 표기하는데 그럼 pGPU는 뭐라 표현할까요. 포장 그래픽?
저도 왠지 인텔의 입김이 아닐지 싶네요 ㅎㅎ
베가 64 .. 비레퍼 사고싶어도 온도 보고 섬뜩했어요 ㅠㅠ
과연 저 시피유는 온도가 어떨까요 ㄷㄷ
어음... 놀랐습니다. 격조했다는 표현은 그... 으음.. :)
돌려본 결과는...
커즈 요~마~걸~ (갑해벤해)
요즘 썬업님 많이 바쁘신가봐요 대근님? 쪽지 확인을 안하시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