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알쓸신잡 : 커피레이크 i3과 카비레이크 i5의 차이
4코어 4스레드, 스카이레이크 아키텍처, 14nm 제조공정 기반이라는 점 등 많은 공통점이 있지만 이들에게도 차별화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카드뉴스의 분량 관계상 본편에서는 다루지 못했고 여기서 간단히 짚어보도록 하죠.
1. 내장그래픽 ALU 개수 : 카비 승
카비레이크는 코어 i3/5/7 전 라인업에 걸쳐, 8개의 실행유닛(EU)이 3묶음으로 내장되어 있어 총 24EU 구성입니다. 이를 일반 GPU의 스트림프로세서와 유사하게 ALU 단위로 쪼개면 192개가 됩니다.
커피레이크는 반면 코어 i5-8400 및 그 이하 제품의 경우 EU를 하나씩 비활성화해 두었습니다. 즉 i5-8400, i3-8350K/8100의 내장그래픽 ALU 개수는 184개입니다.
2. L3 캐시 용량 : 커피 일부 승
카비레이크 코어 i5는 모든 모델이 코어당 1.5MB씩 총 6MB의 L3 캐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코어 i7이 코어당 2MB씩 8MB를 탑재한 것과 비교할 때 의도적으로 25%를 줄인 것입니다.
커피레이크 코어 i3은 반면 8350K와 8100의 L3 캐시 용량이 다릅니다. 8100은 카비 i5와 마찬가지로 코어당 1.5MB의 L3 캐시를 갖지만 8350K는 코어당 2MB, 총 8MB의 L3 캐시를 갖지요.
3. 터보부스트 지원여부 : 카비 승, 그러나...?
카비레이크 코어 i5는 모든 모델이 터보부스트를 지원합니다. 그 폭은 모델별로 달라서, 최상위 모델인 7600K는 3.8-4.2GHz까지의 가변폭을 갖고 7600은 3.5-4.1GHz, 7500은 3.4-3.8GHz, 마지막으로 최하위 모델 7400은 3.0-3.5GHz의 범위 내에서 작동합니다.
커피레이크 코어 i3은 반면 터보부스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불리해진것 같지만 실상은 꼭 그렇다고 보기만은 어려운 게, 그만큼 베이스 클럭이 높아 오히려 멀티스레드 성능이 유리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8350K의 (베이스) 클럭은 4.0GHz로 이는 심지어 카비레이크-X 기반의 코어 X-시리즈 프로세서 코어 i5-7640X와 같습니다.
또한 이보다는 낮지만 8100의 3.6GHz라는 수치도 7500의 올 코어 부스트클럭과 같거나 소폭 앞서며 최대 부스트 클럭보다는 소폭 낮은 (-200MHz) 수준으로 러프하게 7500급의 성능쯤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기존의 i3 가격으로 기존의 i5 성능을 누리게 된 것이니 나쁘지 않습니다. 단, 내년 상당 기간까지는 300 시리즈 칩셋 중 최상위 가격대인 Z370 메인보드와만 조합되어야 한다는 핸디캡이 가격인하효과를 대폭 상쇄할 전망입니다. (당장 다나와 기준으로도 7500 + H110을 8100 + Z370보다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 기승전 메인보드... Z370 대체 무엇...
Dr.Lee's Signature
* 적용중인 트로피 :
DR.MOLA
레벨 | Lv. 30 (-22%) |
---|---|
포인트 | 98,138 p |
출석 | 11 일 (개근 0 일) |
Dr.Lee'님의
-
추천 수
7 추천인 | - |
카비 I3가 커피 I5보다 더 좋다는 건가요??
이건 나름 신선한 충격이네요
터보 부스터 이야기가 나와서 한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어디서 본 포럼글인데
인텔이 이제 터보 부스터를 공시 안한다고 발표 했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활성화 코어수가 늘어남에 있어 비례해서 속도가 낮아진다고 하더라구요
요거 진실인가요??
인텔이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아직까진 루머 혹은 기획 단계)은 부스트 클럭이라 부르는 최대 부스트 클럭이 아니라 코어 활성화별 부스트클럭입니다. 일반적으로 PC 성능은 올코어 부스트 클럭, 즉 모든 코어 활성화 된 경우의 부스트 클럭에 따라 결정되므로 성능을 가늠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인텔은 코어 활성화 상태별 부스트 클럭은 단계별로 다르고, 커피레이크의 정보는 https://en.wikipedia.org/wiki/Coffee_Lake#Desktop_processors 요기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라이젠도 베이스/최대/최대+ 클럭은 공개했지만 올 코어 부스트 클럭을 공개하진 않았습니다. 어차피 전 라인업이 배수락이 해제되어 있어서 수동 오버클럭이 가능하고, 쿨링 상태에 따라 달라지니 크게 의미가 없어 그런 거 같습니다. 인텔은 그냥 최대 부스트 클럭만 강조하고 싶어서 그런 거 같네요. 귀찮지만 출시가 되고 나서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서 올 코어 부스트 클럭을 확인해야 겠죠.
케이비 레이크 HD 630 : 24 EU/1000-1150MHz = 384 − 441.6 GFlops
커피 레이크 i3 UHD 630 : 23EU/1100-1150MHz = 404.8 − 423.2 GFlops
커피 i3를 사는게 역시...
i3가 전세대 i5를 뛰어넘는다니 충격...
역시 코어를 늘리니 성능도 그만큼 올라주는군요.
캐논 나오면 넘어가려고 했는데.. 뽐뿌가 ㅋㅋ
67k야 힘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