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텍스 2017 스페셜 : 스레드리퍼 관련 AMD 직원 인터뷰
by Dr.Lee on 2017년 06월 01일 00시 51분 (2년 전)
닥터몰라는 오늘 오전 개최된 AMD의 프레스 이벤트에 참석, CEO 리사 수 박사의 키노트 세션이 끝난 뒤 본사 직원인 James Prior CPU 채널 비즈니스 매니저와 인터뷰할 기회를 가졌다. 닥터몰라에서는 Dr.Lee, Archost 2인이 패널로 참석했으며 AMD의 APJK PR 매니저인 Garrath Johnson이 인터뷰에 배석했다.
AMD 프레스 이벤트 실황은 이 글에서 볼 수 있고, 라이젠 스레드리퍼 및 에픽에 관한 AMD의 공식 발표자료는 각각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Q1. 라이젠 스레드리퍼와 라이젠 플랫폼의 차이를 간단히 요약해 달라.
A1. 라이젠은 X370, B350, A320, X300 등의 칩셋을 사용하지만 라이젠 스레드리퍼는 X399 칩셋을 사용한다. 후자는 약 4000여개의 핀이 있는 LGA 소켓과 쿼드채널 DDR4 메모리를 지원한다. 특히 언버퍼드 DIMM을 지원하며 최대 128GB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레지스터드 / LR-DIMM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Q2. 라이젠 스레드리퍼가 지원하는 메모리 클럭은?
A2. 아직 알려줄 수 없다(TBD). 다만 기존 라이젠 플랫폼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해도 좋다. (Q : 채널 당 DIMM 수는?) 채널당 2개의 DIMM을 지원한다.
Q3. 에픽과 라이젠 스레드리퍼는 모두 LGA4xxx 소켓을 사용하는 등 외형이 유사하다. 에픽은 제플린 4다이 MCM이지만 라이젠 스레드리퍼는 공식적으로는 2다이 MCM이라고 되어 있다. 혹시 라이젠 스레드리퍼가, 실제로는 4개의 다이를 탑재한 에픽의 불량품 구제용 아닌가?
A3. 그렇지 않다. (Q : 확실히 해 두기 위해 다시 묻겠다. 라이젠 스레드리퍼는 물리적으로 2개의 다이만을 탑재하나?) 그렇다. 2개의 제플린 다이를 탑재한다.
Q4. 의문이 생긴 이유는 라이젠 스레드리퍼가 64개의 PCIe 라인을 지원한다고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제플린 다이 하나로 구성되는 라이젠 5/7은 16개의 PCIe 라인을 지원하는데, 그렇다면 데스크탑용 제품에 일부러 라인 수를 절반 제한한 것인가.
A4. 제플린 다이는 기본적으로 32개의 PCIe 라인을 지원한다. 라이젠 5/7은 그 중 24개를 지원하는데, 여기서 16개의 라인만을 그래픽카드에 할당하고 나머지 8개는 다시 4개씩으로 나눠 메인보드 칩셋에 절반을, NVMe 등 I/O 용도로 절반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32개 중 24개 라인만을 사용하는 것)은 제플린 다이의 제한이라기보다는 AM4 메인보드의 제한이라고 볼 수 있겠다.
Q5. 에픽을 X399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
A5. 에픽과 라이젠 스레드리퍼의 패키지, 소켓은 외형적으로 비슷하지만 전기적으로 호환되지 않는다. 서로 크로스플랫폼 사용은 불가능할 것이다. 스레드리퍼라는 브랜드는 고성능의 "컴퓨팅"(클라이언트 컴퓨팅으로 이해)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프리미엄을 갖는 브랜드가 될 것이다.
Q6. 솔직히 라이젠 스레드리퍼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땐 코드네임인 줄 알았다. 실제 제품명이라기엔 너무 유치하고 길어...
A6. 감히 그런 소리를! (You dare!)
Q7. 라이젠 5/7은 X370, B350 등 메인보드 칩셋을 필요로 한다. 반면 에픽은 SoC라고 밝혔다. 에픽은 제플린 다이 4개만으로 구성되는 만큼 제플린 자체는 기본적으로 SoC의 기능이 있는 것인가? (A : 그렇다.) 그렇다면 라이젠 스레드리퍼도, 비록 지금은 X399 칩셋이 달린 메인보드만 사용하지만, 추후 메인보드 칩셋을 없애 ITX 등 더 작은 폼팩터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나?
A7. 제플린 다이는 그 자체로 SATA, 네트워크 연결 등을 지원하는 SoC인 것은 맞다. 그러나 X370이나 X399 등의 칩셋은 CPU가 자체적으로는 제공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I/O 연결을 제공하는 의미가 있다. (4개의 다이로부터 제공하는 에픽을 제외하고, 그 이하는 CPU가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것으로 이해) 또한 Secure boot 등 플랫폼 보안 관련 기능도 메인보드 칩셋이 관장하고 있다. 라이젠 스레드리퍼의 소켓은 매우 거대해서, ITX 폼팩터로 만드는 것은 3차원 구조 메인보드가 아닌 다음엔 불가능할 것이다.
Q8. 과거 하이엔드 제품을 상징하던 애슬론 브랜드는 현재 로우엔드로 옮겨가 명맥을 잇고 있다. 이렇듯 얼마 전까지의 하이엔드 브랜드였던 FX, 옵테론 등을 다시 보게 될 가능성은 없을까?
A8. 현재로서는 그들은 역사의 일부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에는 어려울 것 같다.
Q9. 인텔이 어제 스카이레이크-X를 발표했고 라이젠 스레드리퍼보다 코어 수가 더 많은 모델이 있다. 라이젠 스레드리퍼의 경쟁력이 약해졌다고 생각하지 않나?
A9. 눈에서 갑자기 땀이 나네. (Water in my ey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이젠 스레드리퍼가 정식으로 출시되면 "와, 매력적이다" 라고 할 것이다.
Q10. 가격에 대해 알려줄 수 있나?
A10. TBD... 라이젠 7보다는 비싸다. '조금'. (a little bit) (Q : 최소한 같은 코어 수의 인텔 제픔보다는 저렴하겠지? / A : 음, 그것 참 좋은 생각이군!)
Q11. 에픽이 최대 32코어, 라이젠 스레드리퍼가 최대 16코어라는 건 알겠다. 당연히 하위 라인업도 있겠지?
A11. 물론.
Q12. 하나의 다이 내에서 각 CCX가 서로 다른 코어 수를 갖는 게 가능한가? 예를 들면 10코어 / 14코어 라이젠 스레드리퍼 같은?
A12. CCX의 기본 원리상 불가능하다. 라이젠 스레드리퍼의 코어 수는 반드시 4의 배수여야 한다. (Q : 8, 12, 16 이렇게만 가능하다는 거지? / A : 응.)
Q13. 레이븐 릿지는 언제 출시되나?
A13. 라이젠 모바일 라인업으로 3분기 중에는 출시 예정이다.
+ 내용추가 : 녹취를 확인하던 중 누락된 내용이 있어 보충합니다. 순서상 맨 마지막은 아니지만 가독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 여기에 적습니다.
Q14. 윈도우에서 라이젠 스레드리퍼 하나를 2개의 NUMA 노드로 인식하나?
A14. 아니다. 윈도우에서 라이젠 스레드리퍼, 에픽 모두 단 하나의 NUMA 노드로 인식한다.
댓글 10
RuBisCO
2년 전
댓글
SayAkhan
2년 전
댓글
TundraMC
2년 전
그보다 water in my eyes라니 으잌ㅋㅋㅋㅋ
댓글
잼아저씨
2년 전
궁금증이 다 해결되는 좋은 질문입니다. ㅋㅋㅋ
댓글
Dr.Lee
2년 전
댓글
이슬
2년 전
댓글
야샤하이페츠
2년 전
예전에 10코어도 있던 사진 자료를 다른 데서 본 것 같은데 거짓 자료임이 밝혀졌네요
코어 수는 4의 배수로 확정된 사항이군요.
댓글
가비의_리
2년 전
댓글
삑점
2년 전
(ex: 브리스톨 릿지 데스크탑.......)
댓글
레드마드리드
2년 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