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AMD는 라이젠 1세대로 커피레이크를 대항할 수 있을까요?
조금 고민을 해보면 현행 라이젠으로도 커피레이크를 상대할 수 있는 방법이 몇가지 있는듯 합니다.
그건 정수성능 위주로 편중된 라이젠 라인업에 부동소수점 성능 위주의 라인업을 추가하는 것이죠.
정수성능을 부스트 해주는 주요 장치들로는 SMT, 많은 코어, 고용량 L3 캐시가 있습니다.
정수성능을 부스트 해주는 주요 장치들로는 SMT, 많은 코어, 고용량 L3 캐시가 있습니다.
비록 라이젠이 고급벡터 스루풋에서는 스카이레이크 코어에 밀리지만, 라이젠도
512kb의 L2를 가진 등 꽤 상당히 부동소수점 성능에 집중한 코어고
커피레이크를 완막 (특히 8700K)은 불가능하더라도
새로운 파생형 모델의 추가로 상당수의 라인업을 수비할수 있을겁니다.
512kb의 L2를 가진 등 꽤 상당히 부동소수점 성능에 집중한 코어고
커피레이크를 완막 (특히 8700K)은 불가능하더라도
새로운 파생형 모델의 추가로 상당수의 라인업을 수비할수 있을겁니다.
1. 쿼드코어 95W 제품 출시
R3 쿼드코어 (4코어 4스레드), R5 쿼드코어(4코어 8스레드)를 출시합니다.
베이스 클럭은 3.8~3.9GHz 가 되는 쿼드코어 R3 1350X(출시희박), R5 1550X 의 출시로
게임 퍼포먼스는 양쪽 모두 R5 1600에 근접하거나 소폭 넘으리라 생각됩니다.
R3 쿼드코어 (4코어 4스레드), R5 쿼드코어(4코어 8스레드)를 출시합니다.
베이스 클럭은 3.8~3.9GHz 가 되는 쿼드코어 R3 1350X(출시희박), R5 1550X 의 출시로
게임 퍼포먼스는 양쪽 모두 R5 1600에 근접하거나 소폭 넘으리라 생각됩니다.
2. SMT 비활성화 모델을 확대
R5 헥사코어, R7 옥타코어에 SMT를 비활성화한 모델을 출시합니다.
요즘 게임에 6,8코어 지원은 우스울 뿐 더러 SMT를 통해 반대쪽 코어의 성능 간섭이 없어진
구조는 부동소수점연산 위주의 앱 성능을 끌어올리기에 최적의 구조입니다.
R5 헥사코어, R7 옥타코어에 SMT를 비활성화한 모델을 출시합니다.
요즘 게임에 6,8코어 지원은 우스울 뿐 더러 SMT를 통해 반대쪽 코어의 성능 간섭이 없어진
구조는 부동소수점연산 위주의 앱 성능을 끌어올리기에 최적의 구조입니다.
R5 1600SE, R7 1700SE 등을 올코어 클럭 3.6~3.7로 출시해 21, 28만원으로 배치한다면
R5 1500X, R5 1600X와 투닥거리는 포지션을 점하면서도 가격 대비 게임성능으로는
커피레이크에 대항할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R5 1500X, R5 1600X와 투닥거리는 포지션을 점하면서도 가격 대비 게임성능으로는
커피레이크에 대항할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3. L3 컷팅 모델을 확대
앞서 선행한 R5 1600SE, R7 1700SE에서 L3을 절반인 8MB로 커팅하면,
정수성능은 효과적으로 제한하면서도 부동소수점 성능은 보존이 가능합니다. 앞선 R5 1600SE, R7 1700SE 모델의 캐시를 L3 8MB로 제한한 후, 클럭을 3.6~4.0으로 조정한다면
저렴한 가격에 효율적인 부동소수점 성능을 뽑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정수성능은 효과적으로 제한하면서도 부동소수점 성능은 보존이 가능합니다. 앞선 R5 1600SE, R7 1700SE 모델의 캐시를 L3 8MB로 제한한 후, 클럭을 3.6~4.0으로 조정한다면
저렴한 가격에 효율적인 부동소수점 성능을 뽑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재플린으로 만들수 있는 추가적인 예상 파생 모델 R5 1550X, R5 1600SE, R7 1700SE를 살펴보았는데요.
이걸 돌아보는 이유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1. 우선 AMD는 가격인하보단 먼저 새로운 모델을 추가할 가능성이 몹시 높습니다-
무조건적인 가격인하로 마진을 깎는 행동은 2015년 이후 AMD에게서 자주 관측되지 않고 있습니다.
2. 만약 가격인하나 새로운 모델 추가가 없다면-
AMD는 정수연산 성능 순위로 가격을 정한다는 확인 사살이 됩니다.
AMD는 정수연산 성능 순위로 가격을 정한다는 확인 사살이 됩니다.
1300X가 1400의 게임성능을 엎어치고, 1600X가 1700의 게임성능을 메치는 이상한 가격 책정,
만약 커피레이크에 상당수의 지분을 뺏기고도 라인업에 큰 변화가 없다면
AMD는 CPU의 부동소수점 성능으로 인텔과 1:1 경쟁할 생각이 크게 없다는 걸로 확인사살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커피레이크에 상당수의 지분을 뺏기고도 라인업에 큰 변화가 없다면
AMD는 CPU의 부동소수점 성능으로 인텔과 1:1 경쟁할 생각이 크게 없다는 걸로 확인사살 할 수 있습니다
삑점's Signature
적용중인 트로피가 없습니다.
DR.MOLA
레벨 | Lv. 3 (41%) |
---|---|
포인트 | 1,072 p |
출석 | 11 일 (개근 0 일) |
삑점'님의
-
추천 수
1 추천인 | - |
애초에 AMD가 APU를 설계한 이유나 HSA 기술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가 내장 그래픽으로 주력 부동소수점 연산 일부를 대체해서 성능 이득을 보려고 하는게 아닐까요?? 그런 이유로 불도저 라인업이 나왔다가 망테크를 타긴 했지만 추이를 보면 곧 그런 세상이 오지 않을까 싶기도 하구요... 'ㅅ'a